고위험군 소아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의 국내 다기관 연구 ;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2005~2014) 의 결과

고위험군 소아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의 국내 다기관 연구 ;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2005~2014) 의 결과

Multi-Center Clinical Study for High-Risk Pediatric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n Korea ; A Result of National R & D Program for Cancer Control 2005~2014

(구연):
Release Date : 2014. 10. 24(금)
Hyery Kim1, Ji Won Lee1, Hyoung Jin Kang1, Kyung Duk Park1, Hee Young Shin1, Soo Hyun Lee2, Keon Hee Yoo2, Ki Woong Sung2, Hong Hoe Koo2, Kyung Nam Koh3, Ho Joon Im3, Jong Jin Seo3, Jun Eun Park4, So Eun Jun5, Yooung Tak Lim5, Sang Kyu Park6, Hyeon-Jin Park7, Byung Kiu Park7, Meerim Park8, Jun A Lee9, Ji Yoon Kim10, Heung Sik Kim10, Jae Young Lim11, Eun Sil Park11, Soon Ki Kim12, Young Ho Lee13 , Hyo Seop Ahn1
Seoul National Univesity Children's Hospital Department of Pediatrics1
Sungkyunkwan University Samsung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Pediatrics2
Ulsan University Asan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Pediatrics3
Ajou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Pediatrics4
Pusan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Department of Pediatrics5
Ulsan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Pediatrics6
National Cancer Center Department of Pediatrics7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Pediatrics8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Department of Pediatrics9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Pediatrics10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Pediatrics11
Inha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Pediatrics12
Hanyang University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Pediatrics13
김혜리1, 이지원1, 강형진1, 박경덕1, 신희영1, 이수현2, 유건희2, 성기웅2, 구홍회2, 고경남3, 임호준3, 서종진3, 박준은4, 전소은5, 임영탁5, 박상규6, 박현진7, 박병규7, 박미림8, 이준아9, 김지윤10, 김흥식10, 임재영11, 박은실11, 김순기12, 이영호13 , 안효섭1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1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2
울산의대 서울아산 소아청소년병원 소아청소년과3
아주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4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5
울산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6
국립암센터 소아청소년과7
충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8
원자력병원 소아청소년과9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소아청소년과10
경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11
인하대병원 소아청소년과12
한양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13

Abstract

b>Introduction/b> 소아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ALL)의 생존율이 현저히 상승하였지만, 여러 문제를 극복하고 치료 성적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소아 환자들에게 맞는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2005년부터 국가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의 지원으로 국내 최초로 ALL에 대한 다기관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 중, 새로 진단된 고위험군 ALL 에 대한 프로토콜은 초기 치료 반응에 따라 Rapid early responder (RER)군과 Slow early responder (SER)군으로 나누고 SER군에서 관해 후 치료를 강화하여 전체적인 고위험군의 장기 생존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b>Patients and Methods/b> 2006년 5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전국 14개 기관에서 고위험군 (진단시 10세 이상, 50,000/uL≤진단시 WBC200,000/uL, 이전에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은 경우, 새로 진단된 T cell ALL)으로 진단된 184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 등록되었다. 관해 후 치료는 관해 요법 중 7일째 골수 검사가 M3이거나, 14일 골수 검사가 M2 혹은 M3인 경우, 그리고 T cell ALL인 경우 SER군으로 배정되었고, 이 경우 Capizzi 요법의 정주 methotrexate 를 적용한 2회의 중간유지를 적용하고 2차 지연강화시 중추신경계 예방을 위한 두개방사선 조사를 시행 하였다. 이외의 환자는 RER군으로 2회의 중간 유지와 1회의 지연 강화를 시행 받았다. b>Results/b> 184명 전체 대상 환자의 진단시 정중 연령은 12.1세 (1.4~21.3세)이며, 정중 추적 기간은 4.2년 (0.2개월~8년)이었다. 전체 환자 중 T cell ALL은 24명 (13%)이었다. 관해 요법 후 174명 (94.6%)이 관해에 도달하였으며, 이 중 109명은 RER군으로, 64명은 SER군으로 치료하였다. 184명 환자 전체에서 전체 생존율은 86.9%였고, 무사건 생존율은 73.3%였다. 이 중, 프로토콜에 맞는 관해 후 치료군 배정을 한 13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 생존율은 RER 91.3% (N=74), SER 83.9% (N=57) (p=0.341)이었으나, 무사건 생존율은 RER 88.7% (N=74), SER 60.5% (N=57) (p=0.049)로 SER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Event는 전체 환자 중 30명 (16.4%)에서 발생하였으며, 이중 관해 실패가 4명, 재발이 18명, 치료관련사망이 7명 (관해 중 3명), 이차 종양이 1명 (papillary thyroid cancer)이었다. 재발에서는 대부분이 골수 단독 재발 (14명)이었으며, 중추신경계 단독 재발은 발생하지 않았다. b>Conclusion/b>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고위험군 ALL 환자의 생존율이 과거에 비하여 상승하였으며, 소아 ALL 에서 국내 다기관 임상 연구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그러나 SER군에서의 성적이 아직 좋지 않고, 국내에서 적용 가능한 미세잔존백혈병 측정의 프로토콜화, 중추신경계 예방에 대한 제안 등 문제들이 남아 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좀더 최적화된 국내 프로토콜의 개발 및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고위험군 소아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 ,